본문 바로가기

초오오오오오짜개발자의낙서장

검색하기
초오오오오오짜개발자의낙서장
프로필사진 코딩하는곰팅이

  • 분류 전체보기 (33)
    • 자료구조 (1)
    • 알고리즘 (0)
    • OS (1)
      • Linux (1)
    • Programing Language (22)
      • DL (4)
      • NODE JS (2)
      • SPRING (2)
      • JSP (0)
      • PYTHON (0)
      • HTML CSS (8)
      • C++ (1)
      • Java (4)
    • Programing Tool (4)
      • mysql (1)
      • K8S (2)
      • InteliJ (1)
    • 자기소개 기록용 (0)
Guestbook
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5   »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Tags
  • CSS
  • 회고
  • tmux사용법
  • -
  • HTML
  • Linux
  • 이유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 글쓰기
  • 방명록
  • RSS
  • 관리

목록분류 전체보기 (33)

초오오오오오짜개발자의낙서장

람다식

C++11에서 람다 식(종종 람다라고 함)은 호출되었거나 인수로서 함수에 전달된 위치에서 바로 익명 함수 개체를 정의하는 편리한 방법입니다. 일반적으로 람다는 알고리즘이나 비동기 메서드에 전달되는 몇 줄의 코드를 캡슐화하는 데 사용됩니다. 그 외에 부분은 나중에 추가할 예정입니다 밑의 코드는 람다식을 활용한 백준 문제 코드입니다. ISO C++ 표준에서는 std::sort() 함수에 세 번째 인수로 전달되는 간단한 람다를 보여 줍니다. #include#include using namespace std; typedef struct set {long long start, end;}CONFERENCE; CONFERENCE C[100000]; int main() {int size;int answer = 0;lo..

Programing Language/C++ 2018. 1. 31. 21:26
이전 Prev 1 2 3 4 5 Next 다음

Blog is powered by kakao / Designed by Tistory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