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25)
초오오오오오짜개발자의낙서장

1주일간 React를 공부하면서 마지막(?) 미니프로젝트로 뉴스 페이지를 구현했다. navLink와 Router를 이용해 카테고리별로 접속하게 만들고, https://newsapi.org/ 의 API 키를 발급받아 데이터를 가져왔다. 컴포넌트의 사용도 어느정도 감을 익혔지만 아직 많이 부족하다, pramas로 인자를 전달받는 것도 js문법 활용도 아직 미숙하다. html과 css 사용도 검색을 많이 하고 레퍼런스 참고도 많이 하였다. 겉으로 보기에도 많이 부족한점이 보이기 때문에 연습이 더 필요하다.
국비 교육으로 배운 html 과 css, JS 를 활용하여 간단한 계산기를 만들어 보았다. HTML과 CSS는 외워서 사용한다기 보다 검색을 통해 기능을 찾는게 많았고 JS의 경우 간단한 기능만 있어 추가적인 구글링이 필요치 않았다. http://wkdnffla3.dothome.co.kr/miniproject/calculate/222.html CalculatorC / * DEL 7 8 9 - 4 5 6 + 1 2 3 = 0 .wkdnffla3.dothome.co.kr
세미나 기획 의도 - 팀원의 코드를 미뤄 머지하지 못할 정도로 코드 수정이 쌓여있어 세미나를 기획하게 되었다. PR - Pull Request - 푸쉬를 하고 관리자가 확인을 한후 머지하는 행위 변경사항을 공유하고 메인 브랜치 코드를 병합하고 코드를 피드백 한다. PR의 기본 흐름 - 새로운 브랜치 생성 - 코드 수정 후 커밋 & 푸시 - GitHub에서 PR 생성 - 리뷰어가 코드 리뷰 진행 - PR 머지 pr을 잘 쓰는 방법 - 명확한 제목과 설명 작성 - 작은 단위로 PR 올리기 - 자동화 도구 활용 ( Eslint, Prettier, 테스트 코드 등을 활용) - 적극적인 코드 리뷰 참여( 스타일 보다는 로직 성능 유지보수성을 중심으로 리퓨, 피드백을 주고받으며 팀원들과 협업) 코드리뷰 - 버..
태그 제목 표시하기- 제목 텍스트 표현- 이 가장 큰것 이 가장 작음 태그 - 단락 만들기- 앞뒤에 줄바꿈이 있는 텍스트 덩어리- 로 표기 태그 줄 바꾸기 태그 - 분위기 전환을 위한 수평 줄 넣기- 수평줄을 삽입할때 사용- 가로선이 삽입되는데 css를 이용해 가로선을 없앨 수 있다. - 인용문 넣기- 다른 블로그나 사이트의 글을 인용할 경우 사용- 다른 텍스트 보다 안으로 들여 써진다. - 입력하는 그대로 화면에 표기하기- html 에서는 많은 공백을 입력하더라고 한개의 공백만 표시된다.- preformat의 줄임말이다. 굵게 표시하기- 눈으로는 두개다 강조 표기가 된다.- 화면 낭독기는 strong 이 강조 가 된다. 이탤릭체로 푝기하기- 기울여서 표기- em 은 emphasis..
호스팅 서버 준비하기 html로 웹 사이트를 만들고 그 내용을 다른 사람들이 볼수 있게 파일을 서버 컴퓨터로 옮겨서 호스팅을 해야한다.중요한 파일인 경우 사용자가 백업을 하거나 백업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 호스팅 서버의 종류 윈도우 서버 호스팅과 리눅스 서버 호스팅으로 분류윈도우 서버에서는 asp나 asp.net을 사용리눅스 서버에서는 php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클라우드 서버를 사용한 클라우드 서버 호스팅도 사용 dothome 이라는 무료 호스팅을 제공하는 사이트를 이용 - FTP 프로그램 설치하기 서버에 파일을 올리고 내리기 위해선 FTP 프로그램이 필요하다.File Transfer Protocol의 약자이다.Filezilla를 사용한다. FileZilla는 클라용..
이번주는 외부 교육으로 인하여 개발을 하지 못하였다.. 대신 수업에서 들은 것중 흥미로운 것을 공유 하고자 한다. - apple의 공식 Create ML 문서:developer.apple.com/kr/machine-learning/create-ml -apple wwdc 2019의 간단한 플랫폼 사용 동영상:developer.apple.com/videos/play/wwdc2019/430 아이패드와 아이폰으로 학습 모델을 돌려볼수가 있다. 수업에서는 아이폰을 카메라로 아이패드를 판독 기기로 하여 이미지 분류 작업을 진행했다. transfer learning 같아 보였지만 정확도나 인식 부분이 꽤 잘 되어서 업무에도 사용 가능하지 않나 생각해본다.

3주째에 이어 4주째는 회사일이 바빠 많이 하지 못했다. 벽을 만들어서 생성된 몬스터가 벽에 충돌하게 구현 흰색 일변인 오브젝트에 간단하게 색을 입혀 눈을 편안하게 만듬. 몬스터 끼리도 충돌을 구현하여 오브젝트간 중첩을 방지. 충돌 상태에서 앞선 몬스터 오브젝트가 이동하면 같이 이동하도록 이동 로직 구현. 몬스터 끼리 맞닿아 있으면 오브젝트가 멈추는 현상이 발생하여 collider 크기를 살짝만 줄여 조정 간단히 HUD를 표현.

기획서를 토대로 만들어 보자 일단 땅이 있어야 뭘 올려놓을수 있으니 Plane 을 깔아서 땅을 만들었다.땅이 작아보여 Scale을 X : 200, Z : 100으로 늘렸다. 카메라의 위치를 조정해 전체적으로 알수 있게 조정을 했다. 기능 테스트를 위해 몬스터를 뜻하는 mob 이라는 프리팹을 생성( 아직 프리팹을 기억하고 있었다.) 이제 이 프리팹을 정해진 위치에 랜덤하게 스폰하도록 하는 스크립트를 작성해야한다.using System.Collections;using System.Collections.Generic;using UnityEngine;public class Monster_generator : MonoBehaviour{ public GameObject monsterPrefab; pub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