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오오오오오짜개발자의낙서장

Java 1번째 정리 본문

Programing Language/Java

Java 1번째 정리

코딩하는곰팅이 2025. 5. 2. 11:07

클래스 블록 - class 로 둘러싸여 있다.

public class Hello{

 

}

 

메소드 블록 - 메소드 기능 도구 , 함수처럼 사용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 args){

System.out.println("hello");

 

}

 

자바를 실행하면 Launcher.class 파일이 나온다.

이 파일을 실행하면 자바 프로그램이 실행

javac Launcher.java

java Launcher

20년 전엔 이렇게 했다.

 

ctrl + Alt + L 코드 자동 정렬

자바에서 패키지는 폴더다.

프로젝트 내의 파일을 정리하기 위한 공간.

회사나 개인을 구분하기 위한 아이디 역할.

 

자바의 객체를 json으로 바꾸는걸 많이 한다.

주석 종류 // , /* */ , /**   */ (문서화로 레퍼찾을때 작은 창에 문서가 뜬다)

주석 관리를 잘 못할경우 없는게 낫다.

 

변수를 선언하고 사용하기 전에 초기화를 해줘야 된다.

 

변수 명명규칙 기본적인건 다아니깐 자바에서 사용되는거만

첫문자는 영어 소문자로 시작하되 다른단어가 붙으면 대문자를 사용한다.

class는 시작이 대문자 부터 시작 변수는 소문자로 작성

 

변수 참조 자료형

메모리를 참조하기 때문에 참조 자료형이라 부른다?

float avg = 99.99f;

double pro = 1234.1234d;

long ms = 2000L;

boolean isFile = false // 논리

 

리터럴  - 소스코드 내에서 직접 입력된 변수의 초기값.

 

int 대충 21억까지 담긴다 4바이트

Byte 객체 Byte.MAX_VALUE;

 

byte b = Byte.MAX_VALUE;

byte b2 = b+ 1; //에러다

연산의 기본이 1인 int 이기 때문에 byte 인 b는 에러다.

작은크기의 변수형과 큰 크기의 변수형을 연산하면 큰 크기의 변수형이 기준이 된다.

 

public class prac_01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 args){
        boolean a = false;
        char b = 'a';
        short c = 20;
        long d = 2147483648L;
        float e = 3.14f;
        double f = 1.0;
        System.out.println(a);
        System.out.println(b);
        System.out.println(c);
        System.out.println(d);
        System.out.println(e);
        System.out.println(f);
    }
}

자동 형변환 순서

byte(1) < short (2) < int (4) <long(8) < float(4) < double(8)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System.out.println((int) ('A')); // 65
        System.out.println((short) ('a')); // 97
        System.out.println((char) (95)); // _
        System.out.println((int) (1.414)); // 1
        System.out.println((float) (10)); // 10.0
        long num1 = 100L;
        int num2 = (int) num1; // 강제 형변환
        System.out.println(num2);
        int num3 = 100;
        float num4 = 2.2f;
        System.out.println((num3 * num4)); // 자동 형변환
        double sum = 15.1 + (double) 10; // 의도적인 표시
        System.out.println(sum);
    }

 

 

 

 

 

 

연산자 하나만 있는 & 나 ❘ 는 앞의 변수를 검사하고 true나 false라도 뒤의 변수를 검사한다.

만약 뒤의 변수가 null이여서 nullpointexception 이 발생할 경우 예외처리를 진행해 줘야 한다.

if(객체 != null && 객체.getName().equals("name")){
}

else{}

 

위의 경우처럼 && 앞의 조건식에서 null이 아닌지 먼저 판별하고 그다음 조건식을 계산할 경우 &&를 써도 되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 &를 써서 예외처리를 진행한다.

 

scanner 사용법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String name;
    int age;
    double height;
    String intro;
    String buffer;

    Scanner sc = new Scanner(System.in);
    System.out.println("이름을 입력 하세요 :");
    name = sc.next();//화이트 스페이스를 기준으로 한 단어를 받아온다.
    System.out.println("나이를 입력 하세요");
    age = sc.nextInt();// next+{자로형}();
    System.out.println("키를 입력 하세요");
    height = sc.nextDouble();
    System.out.println("자기 소개를 입력 하세요");
    buffer = sc.nextLine(); // 한줄을 통째로 받아온다 위에서 입력한 개행문자가 버퍼에 남아있어 개행문자를 buffer에 담아서 없애준다.
    intro = sc.nextLine();

    System.out.println("이름은 " + name + " 나이는 " + age+ " 키는 " + height + "입니다.\n");
    System.out.println("intro " + intro);
}

 

 

삼항 연산자 사용법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int score =0;

    System.out.println("숫자 입력 > ");

    Scanner sc = new Scanner(System.in);
    score = sc.nextInt();

    // A ? B : C
    char grade = score >= 90 ? 'A' : (score >= 80 ? 'B' : 'C');
    System.out.println(grade);
}

 

 

'Programing Language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 함수형 프로그래밍  (0) 2025.06.04
Java3  (0) 2025.05.08
Java 2번째  (1) 2025.05.07
Java 개발 준비  (0) 2025.04.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