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오오오오오짜개발자의낙서장
클라우드 컴퓨팅 본문
1.클라우드 컴퓨팅
1.1 클라우드 컴퓨팅 개요
- 클라우드는 인프라에 사용되는 서버 저장소 데이터베이스 네트워크 소프트웨어 데이터 분석등을 포함해 사용자가 언제든지 인터넷과 모바일등의 엔드 디바이스를 통해 IT 서비스를 제공받을수 있는 컴퓨팅 기술이다.
- 애자일 방법론을 활용한 민첩한 서비스 도입과 탄력적인 확장과 축소 자동화된 서비스 유지 관리를 통해 운영 비용을 낮추고 비즈니스 요구사항의 변화를 빠르게 적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1.1.1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인터넷 기술을 이용해서 다수의 사용자에게 하나의 서비스로서 방대한 IT 능력을 제공하는 컴퓨팅 방식
시작은 유틸리티 컴퓨팅 이다. 서비스 제공자 (provider)가 고객에게 컴퓨팅에 사용되는 여러 자원과 기반 시설 등의 관리를 제공하는 형태
클라우드 컴퓨팅 = 그리드 컴퓨팅 + 유틸리티 컴퓨팅
그리드 컴퓨팅
- 가상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분산된 컴퓨팅 자원을 공유하도록 하는 기술 방식( 인터넷의 유휴 자원을 활용)
유틸리티 컴퓨팅
- 다양한 컴퓨팅 자원에 대한 사용량에 따라 요금을 부과하는 종량제 방식의 기술 기반으로 필요할때 가져다 쓴다는 on - demand 컴퓨팅 방식 (기업 중심의 서비스)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적으로는 그리드 컴퓨팅을 따르고 비용적으로는 유틸리티 컴퓨팅을 혼합한 포괄적인 패러다임이다
기업과 개인이 모두 사용 가능한 서비스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의 컴퓨팅 자원 이용
주문형 셀스 서비스 (on-demand self-service) : 고객이 provider의 개입 없이 원하는 시점에 바로 서비스를 사용 할 수 있다..
광대역 네트워크 접근(broad network access) : cloud service provider가 제공하는 광대역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빠른 속도로 서비스를 이용할수 있다
신속한 탄력성과 확장성(rapid elasticity and scalability) : auto scaling 기능을 통해 확장과 축소가 가능하다
자원의 공동 관리 resource pooling : 물리적 및 가상화된 자원을 pool로 관리하며 탄력적으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동적으로 할당 또는 재할당 한다
측정 가능한 서비스 measured service : 자원 사용량이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요금 산정 metering 기능을 통해 비용이 발생
1.1.2 클라우드 컴퓨팅 구조
- 클라우드 컴퓨팅 구조는 최하위 계층으로 자원 활요ㅕㅇ과 관련된 물리적 시스템 계층 가상화 계층 프로비저닝 계층이 있고 클라우드 서비스와 관련된 클라우드 서비스 관리 계층 클라우드 서비스 계층으로 구분한다.
- 물리적 시스템 계층
- 여러 형태의 서버를 활용하여 서버에 탑재된 수평적으로 확장 가능한(Scale out) 스토리지 및 네트워크 등의 물리적 요소를 의미
- 이를 기반으로 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가상화는 클라우드의 주요 이점 중 하나인 민첩성(agility)를 제공, 이를 통해 provider는 서버 프로비저닝 또는 프로비저닝 해제를 수행해여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
- 쉽게 말해 사용자가 원하는만큼의 자원을 할당 및 해제해주는 계층
- 가상화 계층
- 프로비저닝 계층
- 클라우스 서비스 관리 계층
- 물리적 시스템 계층에서 제공되는 자원에 대한 전반적인 라이프 사이클 관리와 모니터링을 지원한다.
- 클라우드 서비스 계층
- 클라우드 접근 계층
1.1.3 클라우드 컴퓨팅 제공 방식과 클라우드 서비스 종류
온프레미스
- 클라우드 개념이 도입되기 전에 기업들은 자체적으로 데이터 및 솔루션등을 저장하기 위해 로컬에 저장
- 이를 on premise라고 한다.
- 이는 탄력적이지 않는 자원과 초기 비용이 비싸다.
- 보안성은 있다.
- on premise 방식으로 설계시 자원 사용량은 최대 사용량을 근거로 설계한다.
퍼블릭 클라우드
- 인터넷을 통해 다수의 사용자에게 provider가 서버 등의 자원을 제공하는 방식이다.
- 사용량에 따라 요금을 산정하는 방식이다.
- 사용자 및 그룹 단위로 권한 관리를 하기 때문에 격리가 되어 사용자 간의 간섭이 되지 않는다
- 대표적인 서비스로 IaaS, PaaS, SaaS가 있다.
'Programing Tool > K8S' 카테고리의 다른 글
Kubernetes를 공부하게된 계기 (1) | 2024.09.22 |
---|